호텔업, 저임금·열악한 처우
구직자 취직 기피 심화
“고질적 문제 터졌다”
엔데믹(감염병의 풍토병화)이 자리잡히며 못 갔던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호텔도 매출 회복세를 보이며 신규 직원 채용에 나섰지만, 저임금과 열악한 처우 탓에 구직자들이 취직을 기피하며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취업 포털 인크루트에 의뢰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올해 1~8월 호텔업 채용 공고 수는 18만 1,064건으로 2020년에 비해 58% 증가했다. 2020년 당시 채용 공고 수는 11만 4,213건이었다. 반면, 구직자의 지원 건수는 2020년 66만 741건에서 올해 26만 562건으로 61% 감소했다.
서울의 한 고급호텔에서 8년째 고객 응대 업무를 하는 A씨는 언론을 통해 “업무가 3교대로 이뤄지는데, 근무자가 적어 교대 작업과 인수인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며 “회사가 채용공고를 계속 올리고 있지만 쉽사리 직원이 뽑히지 않는다. 일손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새벽 1시에 급히 도움을 요청하는 전화가 오기도 했다”고 밝혔다.
MZ세대가 호텔업을 기피하는 이유는 낮은 임금 때문이다. 고용노동부가 집계한 ‘2021 산업별 임금 및 근로 시간’에 따르면 지난해 숙박 및 음식점업의 월 임금 총액은 160만 원으로 전체 18개 산업군 가운데 가장 낮았다. 임금 수준은 18개 산업의 평균 월 임금 총액(348만 3,000원)의 절반에도 못 미쳤다.
높은 업무 강도도 문제다.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산하 관광산업위원회가 발표한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호텔업자의 평균 근로자 수는 2019년 3월 68명에서 2020년 9월 52명으로 줄었다. 두 사람이 해야 할 일을 한 사람이 하면서 워라밸을 중시하는 요즘 세대에게 기피 직업이 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최충범 세종대 호텔관광외식경영학부 교수는 언론을 통해 “호텔업계가 겪는 인력난은 고질적인 문제가 터진 거다. 처우가 안 좋다 보니 팬데믹 기간 다른 업계로 떠났던 사람들이 팬데믹이 끝났다고 다시 호텔업계로 돌아올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MZ세대는 삶의 질을 중요시하는데. 업무 강도가 높은 호텔업은 기피 현상이 특히 심화하고 있다”며 “학생 중에서도 이 문제로 진로를 고민하는 사례가 많다”고 말했다.
팬데믹 기간 호텔업이 큰 타격을 받았다. 당시 많은 호텔에서 직원 인원수를 감축하거나 무임금 휴직을 감행했다. 그 결과 호텔업은 불안정한 직장이라는 인식이 생겼다. 업계에서는 인력난이 장기화하면 서비스 품질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실제로 한 고급호텔 관계자는 언론을 통해 “업장 예약을 위해 전화를 수십 번 했는데, 직원과 통화가 어렵다는 소비자 불만이 자주 제기된다”며 “호텔을 이용하는 사람은 많은데 서비스를 제공할 사람은 적다 보니 전반적으로 서비스 품질이 낮아지고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서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댓글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