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신과 함께’는 영화로 제작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며 다시 한번 화제가 되었었죠이전에 작품을 봤던 팬들뿐만 아니라 작품을 보지 않았던 사람들도 웹툰에 점차 관심을 갖기 시작한 것인데요특히 영화 개봉일이 확정되고예고편이 공개되는 등 소소한 이슈 하나만으로도 작품에 대한 기대감과 관심이 쏠리게 됩니다이렇게 영화 <신과 함께>는 1000만 관객을 돌파에 성공하였죠이후많은 웹툰들이 영화화하기 시작하였으나독자들은 기존 웹툰과 많이 달라진 점에 실망을 금치 못했고결국 쪽박만 찬 영화들이 있습니다.순정만화

한국 웹툰에 한 획을 그은 강풀의 웹툰 순정만화는 연재 당시 웹툰 내에 신드롬을 일으킬 정도로 아주 큰 인기를 끌었었죠. 이후, 그 인기에 힘입어 2008년 영화 <순정만화>가 제작됩니다. 웹툰 원작이 워낙 유명했기 때문에 많은 관객들과 독자들도 기대를 많이 하고 있었는데요.
스토리가 꽉 차고 긴 웹툰을 2시간 안에 표현하려다 보니 생략된 부분이 너무 많아 이야기가 매끄럽지 못하였다는 평과 함께 결국 전국 관객 수 73만 명으로 쓸쓸히 막을 내리게 되었습니다생략된 이야기뿐만 아니라원작과는 다른 느낌을 주는 캐릭터 설정과 유명 스타 배우 위주의 안 어울리는 배우 캐스팅 등 다양한 이유를 실패 원인을 꼽혔습니다.아파트

고소영이 출연하는 영화 <아파트>도 강풀의 미스터리 심리 썰렁 물 시리즈의 첫 작품이었던 웹툰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알려져 있죠주인공 세진(고소영)이 매일 밤 건너편 아파트의 불이 동시에 꺼지는 현상을 목격하는데요건너편 아파트 주민이 계속해서 의문의 죽음을 당하자 모든 주민들은 공포에 휩싸입니다그녀는 이 현상에 일정한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고 비밀을 파헤치려고 하지만 점점 궁지로 몰리게 되는 공포스러운 이야기인데요.
원작에서는 주연이 남자였지만 영화에서는 좀 더 공포감을 살리기 위해 여자로 교체하였다고 합니다이번에도 영화 <순정만화>와 같이 배우 고소영을 캐스팅하여 스타마케팅을 노린 것 같아 보였지만결국 64만 명으로 흥행에 실패하였는데요이야기를 단순화하면서 인물의 성별을 바꾸고 상황도 약간 수정하여 역시나 원작과 다른 점이 생소하다는 평이 많았습니다.

패션왕

‘나 혼자 산다’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주고 있는 기안84의 웹툰 <패션왕>도 유명한 웹툰인 만큼 영화화 시키는 일에 빠질 수 없는데요아무런 매력도 없는 고등학생 주인공 우기명이 좋아하는 이성의 마음을 얻기 위해 변신을 시도하는 것으로부터 이야기가 시작됩니다평소에 시도해보지 못한 헤어와 패션 스타일을 바꾸는 것으로 우기명의 인생은 180도 달라지는데요. 변화를 통해 평소 말 한마디도 섞어보지 못했던 학급 친구들에게 인정을 받으며 잘나가는 친구들과 하는 학교생활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영화 <패션왕>은 원작의 감성과 유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뜬금없지 억지 감동과 로맨스를 추가하여 개연성이 떨어진다는 평과 함께 관객 수 50만 명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패션왕>이 개봉하는 같은 날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인터스텔라>가 개봉하면서 더욱더 흥행하는 데 악조건이 많았다고 합니다.

치즈 인 더 트랩

로맨스릴러라는 새로운 장르를 만들 만큼 로맨스와 스릴러를 잘 배합하여 많은 사랑을 받은 웹툰이죠입체적인 캐릭터와 인간관계에 대한 현실적이고 사실적인 묘사로 인기를 끌었습니다사실<치즈 인 더 트랩>은 2016년 드라마로 제일 먼저 만나볼 수 있었는데요.
이후 2018년에는 웹툰 그리고 2019년에는 영화로 총 세 번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홍설 역의 김고은이 캐스팅 미스였다는 의견을 고려해 영화에서는 홍설 역으로 가장 많은 추천을 받았던 오연서가 캐스팅되었지만, 영화 <치즈 인 더 트랩>은 2시간 안에 너무 많은 사건을 다루려 해 개연성이 아쉽다는 평을 받았습니다그렇게 개봉 전 캐스팅으로 상당한 관심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22만 명이라는 처참한 성적으로 막을 내리게 되었다고 합니다.

다세포 소녀

엄청난 인기와 관심을 받았던 웹툰 <다세포 소녀>를 원작으로 해 개봉 전부터 화제를 모았던 영화 <다세포 소녀>는 개봉 2주일 만에 종영이 거론되는 등 당시 관객 수 60만 명에 못 미치는 상황까지 나타났습니다쾌락의 명문 무 쓸모 고등학교를 배경으로 벌어지는 학생들과 교사 그리고 그 주변의 이야기를 다룬 <다세포 소녀>는 총 40회의 에피소드를 다루다 보니 등장인물 각각의 개성이 살아있다는 것이 특징인데요.
영화는 111분의 긴 러닝타임에도 불구하고 내용을 부족했으며 지루한 감까지 더하여 관객들은 실망을 안 할 수가 없었다고 합니다다른 의견으로는 관객들에게 새로운 재미를 선사하기에 충분하였다는 평이 있었지만더 많은 관객들과 독자들의 기대에 못 미쳤던 것이 흥행 실패 이유라고 꼽혔습니다.
이렇듯이 웹툰을 영화화시켜 쪽박 맞은 영화들은 원작 이야기를 그대로 영화화 시키면 더 좋을 것 같다는 독자들의 의견에도 무시하고 영화화 시키기 위해 각종 요소들을 영화에 맞게 바꾸었다는 점인데요사실 흥행한 영화들 중에서는 강풀의 웹툰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옮긴 영화가 오히려 흥행에 성공했다는 점에 눈여겨봐야 될 것 같습니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랭킹 뉴스

실시간 급상승 뉴스 베스트 클릭

금주 BEST 인기글

LEAVE A REPLY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